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제넥신·SK바이오사이언스·셀리드·진원생명과학
이달 말까지 코로나19 백신 임상 착수 예정
내년 하반기~2022년 목표 백신 개발 추진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방역당국이 해외 제약사에 비해 더딘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과 관련, "백신 개발을 계속 추진할 동력과 이를 지원하는 체계 등이 미흡했다"고 밝혔다.


권준욱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2부본부장(국립보건연구원장)은 22일 정례브리핑에서 "국내 연구기관이 개발 중인 백신 후보물질은 이제 겨우 비임상(동물 실험)을 거쳐 임상 1상에 진입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국내 백신은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아 일부 국가에서 접종이 시작된 화이자, 모더나와 같은 mRNA 플랫폼 백신 연구 자체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면서 "성공 가능성이 조금 더 낮은 방식의 백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몸에 바이러스가 아닌 전령 RNA(mRNA)를 넣어 항체 형성을 유도하는 '핵산 백신'이다.


권 부본부장은 국내 연구기관과 기업체의 백신 개발이 세계의 다른 기업에 비해 늦은 이유에 대해 "치료제, 백신의 분과위원회나 실무추진위원회 등을 통해 점검해 보면 축적된 경험, 연구에 쏟아부은 투자, 인력, 더 나아가 임상시험 체계, 네트워크, 거버넌스 등이 총체적으로 큰 격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권 부본부장은 "해외 연구기관은 이미 출발선상에서 한참 앞에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 백신 개발이)진행돼 그만큼 빠르고 신속하게 진행됐지만, 우리나라는 사실상 신종 감염병 백신 개발을 추진할 동력과 지원하는 체계가 미흡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기회에 보완해 시간이 축적되면 그 이후에 닥치는 상황은 대응할 수 있으리라고 믿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 부본부장은 " DNA 백신이 2종, 합성항원 백신이 1종, 전달체 백신 1종이 각각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다"며 "2021년 중에 임상 3상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10256264

login join us close